티스토리 뷰
목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피해 상황
2025년 9월 26일 저녁 8시 15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약 10시간에 걸친 진화 작업 끝에 큰 불길은 잡혔지만, IT 서버 내 고열(160℃) 탓에 복구 지연과 피해 확산 우려가 큽니다.
화재로 인해 정부 전산 시스템 647개가 중단, 세금납부,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온라인 우체국, 예적금 서비스 등 70여 종의 주요 전자 행정 서비스마저 마비되었습니다.
우정사업본부 등 기관은 수기 업무로 임시 대응하고, 민원, 서비스 신청 등은 대체 사이트 혹은 오프라인 이용을 안내했습니다. 한편, 배터리 교체 및 점검 작업 중 발생한 사고로 현장 작업자 1명이 팔에 화상을 입고 치료 중이며, 추가 피해 조사는 계속 이뤄지고 있습니다.
화재 원인과 발생 경위
원인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실에 설치된 리튬이온 배터리의 폭발로 추정됩니다. 배터리 교체를 위해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192~384개의 배터리팩이 집중된 전산실에서 리튬배터리 열폭주 및 폭발이 일어나며 화재가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불이 쉽게 진압되지 않은 이유는 리튬배터리 화재 특성상 진화작업 중 물 사용이 제한되고, 데이터 보존을 위해 CO₂ 소화설비와 극소량의 물만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국가 중요 데이터가 저장된 시설은 소방과 IT 보안 동시 대응이 필요해, 사고 상황 관리가 매우 까다롭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정부 및 기관 대응 방안
행정안전부는 즉각 위기경보수준을 '경계'에서 '심각'으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여 총력 복구에 돌입했습니다. 현장에는 소방인력 170명과 장비 63대 이상이 투입, 발화 원인 규명과 피해 최소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항온항습기 복구, 서버 냉각, 데이터 백업 절차가 우선 시행됐으며, 복구 완료 전까지는 대체 시스템과 오프라인 창구 안내가 병행되었습니다. 정부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 발표했으며, 크리티컬 업무(세금 납부, 증명서 발급)는 기한 연장 및 수기 접수로 지원했습니다.
한편 이번 화재로 인해 클라우드 이중화, 백업 체계의 미흡함이 지적되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피해 복구 및 향후 대책
복구 작업은 항온항습기 정상화 이후 정부 서비스별 우선순위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됩니다. 우선 우체국 금융, 예적금, 우편 업무부터 복구가 시작되며, 복구 상태 및 서비스 재개 여부는 공식 홈페이지와 행정기관 공지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향후 리튬이온 배터리 관리 강화, 백업 이중화 시스템 구축, 상시 비상복구훈련 등 대책을 마련해 재발방지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화재가 남긴 교훈
이번 화재사건은 첨단 IT 인프라와 공공서비스의 안전성 및 위기대응 체계 강화 필요성을 모든 국민에게 다시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복구 과정에서의 신속한 정보 제공, 대체 서비스 활용, 수기업무 체계 등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중요한 안전망임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향후 각 기관은 실시간 재난 정보공유, IT 백업 이중화에 집중, 국민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산 행정시스템 마련이 절실함을 보여줍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7가지
1. Q: 화재 발생 시간과 장소는?
A: 2025년 9월 26일 저녁 8시 15분,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입니다.
2. Q: 주요 피해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A: 국민신문고, 모바일 신분증, 우체국 예금·보험 등 70여개 서비스가 마비되었습니다.
3. Q: 원인은 무엇인가요?
A: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추정되며, 배터리 교체 작업 중에 발생했습니다.
4. Q: 인명피해 상황은?
A: 작업자 1명이 팔에 화상을 입었으며, 추가 조사 중입니다.
5. Q: 복구 예상 소요기간은?
A: 우선순위 서비스부터 단계적으로 복구, 전체 복구는 현장 상황과 피해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6. Q: 국민 불편 해소 방법은?
A: 서비스 개시 전까지 대체 사이트 접속, 오프라인 창구, 민원 수기 접수 안내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7. Q: 향후 재발방지 대책은?
A: 배터리 관리 강화, IT 이중화 도입, 비상복구훈련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참고 URL 모음
IT인프라가 안전할수록 우리의 일상이 더 편리해집니다. 과연, 다음 국가기관은 이번 화재에서 어떤 교훈을 얻고 더 튼튼한 보호체계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